심리학의 이해 시리즈 7: 학습과 기억
목차
학습이란? #
심리학에서 학습(Learning)이란 경험을 통해 오랜 시간 유지되는 행동의 변화를 의미합니다. 학습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하는 공부뿐만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것도 포함됩니다.
- 의식적 학습: 학교 공부나 지식처럼 의도적으로 배우는 것.
- 무의식적 학습: 큰 소리에 놀라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반응.
습관화와 민감화 #
습관화와 민감화는 하나의 자극이 반복될 때 나타나는 두 가지 반응입니다.
- 습관화(Habituation): 똑같은 자극이 반복될수록 반응이 점점 약해지는 현상입니다.
- 민감화(Sensitization): 똑같은 자극이 반복될수록 반응이 점점 더 강해지는 현상입니다.
예를 들어, 처음 고속도로 옆에서 살 때는 차 소리가 거슬리지만, 시간이 지나면 익숙해져 신경 쓰지 않게 되는 것이 습관화입니다.
연합학습과 조건형성 #
고전적 조건형성(Classical Conditioning) #
Ivan Pavlov(이반 파블로프)
가 발견한 이 학습은, 두 가지 자극이 연결되어 새로운 반응이 생기는 과정입니다.
예를 들어, 종소리(CS)와 음식을(US) 반복해서 함께 주면, 나중에는 종소리만으로도 침을 흘리게 되는 현상입니다.
- 무조건자극(US): 본능적으로 반응하는 자극 (음식).
- 조건자극(CS): 원래는 중립적인 자극이지만, 학습을 통해 반응을 일으키게 된 자극 (종소리).
고전적 조건형성의 주요현상 #
- 획득: 자극의 연결이 반복될수록 조건반응이 잘 형성됩니다.
- 소거(Extinction): 조건자극만 계속 제시하면 조건반응이 점차 사라집니다.
- 역조건형성(Counter-conditioning): 부정적인 반응을 긍정적인 반응으로 바꾸는 과정입니다.
- 생물학적 준비성(Biological Preparedness): 특정 자극들은 다른 자극들보다 쉽게 학습됩니다(예: 뱀에 대한 공포).
조작적 조건형성(Operant Conditioning) #
B.F. Skinner(스키너)
가 연구한 조작적 조건형성은, 행동과 그 행동의 결과가 연결되는 학습입니다.
- 강화(Reinforcement): 행동이 더 자주 일어나도록 만드는 방법.
- 정적 강화: 원하는 것을 주어 행동을 늘리는 것(예: 칭찬).
- 부적 강화: 싫어하는 것을 없애 행동을 늘리는 것(예: 숙제를 안 하게 해줌).
- 처벌(Punishment): 행동을 줄이게 만드는 방법입니다.
조작적 조건형성의 주요현상 #
- 행동조성(Shaping): 단계별로 보상을 주어 복잡한 행동을 조금씩 학습시킵니다.
- 미신행동(Magical Behavior): 우연히 받은 보상 때문에 반복되는 행동입니다(예: 주사위에 바람 불기).
- 강화계획(Reinforcement Schedule): 매번 보상을 줄 수 없으므로 간헐적으로 보상을 주는 방법입니다.
기억(Memory) #
기억은 우리가 정보를 받아들이고, 저장하고, 필요할 때 꺼내 쓰는 과정입니다.
기억의 과정 #
-
부호화(Encoding): 경험한 것을 기억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는 단계입니다.
- 정교 부호화: 정보를 깊이 있게 이해하며 저장하는 것.
- 심상 부호화: 이미지를 만들어서 더 잘 기억하는 방법.
- 조직적 부호화: 항목들을 범주로 나눠서 기억을 쉽게 하는 방법.
-
저장(Storage)
- 감각기억: 아주 짧게 유지되는 기억(소리 5초, 이미지 1초).
- 단기기억(Short-term Memory): 정보를 짧은 시간만 유지하는 기억(약 20초).
- 인간이 동시에 기억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평균적으로 7개 정도(정확히는 7±2개)입니다. 이는 전화번호처럼 짧은 정보를 외울 때 나타납니다.
- 청킹(Chunking): 여러 개의 정보를 묶어서 기억하면 더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(예: 전화번호).
- 장기기억(Long-term Memory): 오래 저장되는 기억이며 용량 제한이 없습니다.
-
인출(Retrieval): 저장된 정보를 필요할 때 꺼내는 과정입니다.
- 인출 단서: 기억을 꺼내는 데 도움을 주는 힌트(예: 기억하려는 단어의 첫 글자).
- 상태-의존적 기억: 학습했던 당시의 기분이나 환경이 비슷하면 더 쉽게 기억나는 현상입니다.
기억의 다양한 현상 #
-
외현기억(Explicit Memory): 의식적으로 기억을 꺼낼 수 있는 기억(예: 어제 무엇을 했는지).
- 의미기억: 지식이나 사실에 관한 기억.
- 일화기억: 개인적인 경험이나 사건에 관한 기억.
-
암묵기억(Implicit Memory): 의식하지 않아도 기억나는 것(예: 자전거 타기).
- 절차기억: 행동이나 기술에 관한 기억입니다.
-
점화효과(Priming): 최근에 본 것이 나중에 비슷한 것을 기억하거나 생각나게 만드는 효과입니다.
-
초두효과(Primacy Effect)와 최신효과(Recency Effect): 처음과 끝에 배운 정보가 중간에 배운 정보보다 더 잘 기억됩니다.
학습과 기억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끊임없이 경험하는 중요한 심리학적 과정입니다.